태권도와 국기원을 두고 정부의 사정이 칼날이 들이닥쳤다고 보는 시선이 많다.
지난 3월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 민원담당 부회장인 김성천씨가 서울중앙지검에 국기원 고발장을 접수했으며 이 사건은 강남경찰서로 내려갔다가 다시 중앙지검 수사부로 올라가는 이례적인 상황을 연출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의 업무상 횡령 등의 고발건과 관련해 국기원장을 비롯한 피고발인들의 소환이 마무리 됐으며 수사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국기원측은 서울특별시에서 징계처리로 제명된 K씨를 부축여 진정을 접수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이는 곧 경찰청 특수수사과로 떨어져 서울시를 포함한 관련단체들이 압수수색을 받았다.
태권도인들은 이를 두고 "정부가 태권도와 국기원에 사정의 칼날을 들이댔다."고 말한다. 또한 "국기원이란 큰 산을 개혁하기 위해 심사비 과다책정이란 여론을 조성해 유관단체들까지 걸고 넘어지는 것 아니냐?"고 확대 피해를 우려하기도 한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번 태권도에 대한 작전(?)은 5월 말경 마무리 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5월 중 국기원에 임시이사를 파견하고 정관승인 및 신임 이사장을 선출해 국기원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특수법인 단체로의 탈바꿈을 마무리 하겠다는 말로도 해석된다.
태권도계는 지금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혼란의 시기다. 국기원 이사장 홍준표 추대설, 전 국기원장 엄운규 복귀설, 김운용 전 IOC 수석부위원장의 태권도계 일선 복귀설 등 국기원 이사장 및 원장과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선거를 앞두고 무수한 소문만 무성할 뿐 아직 그 실체를 들어 내지 않았다.
정부는 태권도계를 정권의 힘으로 강제적 정리하지 않는다는 인식을 시켜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듯하다. 언론과 여론의 반발을 의식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국기원 문제는 강제적으로 관선이사를 파견하면 될 것 같지만 아직 산하단체가 아니고 관리단체로의 지정 또한 아니기에 국기원에 우선권을 부여했다. 먼저 태권도인들이 인정하는 사람을 추천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임시이사 명단은 사무처의 독단으로 이루어졌다. 태권도인들이 인정하는 사람이 아닌 국기원 일부 인사가 인정하는 사람만으로 구성된 명단이라는 것이다.
태권도계에 어떠한 결과가 나올지 기다리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우선적으로 특정인들이 중심이된 태권도 개혁이 아닌 태권도인들에 의한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모두가 깨달아야 한다.
화목한 가정의 달 5월, 태권도 가족에게도 화목한 소식이 전해지길 바란다.